본문 바로가기
교육

79년 전, 빛을 되찾은 날 | 광복절의 의미

by EDU ON- 2025. 8. 13.
반응형

 

광복절의 의미
광복절(光復節)은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본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광복(빛을 되찾음)을 맞이한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입니다.
‘광복’이라는 단어는 빛을 되찾다라는 뜻으로, 잃었던 주권과 자유를 되찾았음을 상징합니다.
이 날은 단순히 해방을 기념하는 것뿐만 아니라, 독립을 위해 희생한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되새기고, 우리 스스로 나라를 지켜 나가야 한다는 다짐을 하는 의미를 갖습니다.

광복절은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공식 지정되었으며, 해마다 다양한 기념식과 행사가 전국에서 열립니다. 특히 태극기를 게양하고, 독립운동사 관련 전시나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국민 모두가 그날의 의미를 되새기도록 합니다.

광복절과 평생교육의 연결
광복절은 과거의 사건을 기념하는 날이지만, 현재와 미래를 위한 배움의 계기이기도 합니다.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광복절은 다음과 같은 학습 기회를 제공합니다.

ㅁ역사적 소양 함양
평생교육은 나이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배우는 것을 강조합니다. 광복절을 맞아 우리 역사, 특히 일제강점기와 독립운동의 과정을 배우면 역사의식이 깊어집니다. 이는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올바른 가치관 형성으로 이어집니다.

ㅁ세대 간 소통의 장
광복절 이야기는 부모 세대가 자녀에게, 혹은 조부모 세대가 손주에게 전할 수 있는 훌륭한 교육 소재입니다. 세대 간 대화를 통해 나라 사랑의 마음과 역사의 교훈을 자연스럽게 전수할 수 있습니다.

ㅁ민주시민 교육
독립은 자유와 권리를 지키기 위한 투쟁의 결과입니다. 광복절을 통해 우리는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배우고, 현재 우리가 누리는 권리를 지키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습니다.

ㅁ생활 속 광복절 교육 방법
평생교육은 일상 속에서 이뤄집니다. 광복절을 단순한 공휴일이 아닌 교육의 기회로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ㅁ독립운동가 이야기 함께 읽기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즐길 수 있는 독립운동가 전기, 만화책, 영상 자료를 가족과 함께 감상합니다.

ㅁ태극기 그리기·만들기 활동
태극기의 의미와 각 문양의 뜻을 배우며 직접 만들어보면 아이들에게 기억이 오래 남습니다.

ㅁ지역 기념관·역사관 방문
실제 자료와 유물을 보며 역사적 현장을 체험하는 것은 책 속 내용보다 더 큰 감동을 줍니다.

ㅁ광복절 의미 나누기 토론
가족이나 모임에서 “광복절이 없었다면 오늘 우리는 어떤 모습일까?” 같은 질문으로 생각을 나눕니다.

광복절은 79년 전의 역사적 사건이지만,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중요한 배움의 날입니다. 

평생교육의 정신은 과거를 배우고, 현재를 성찰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데 있습니다.


올해 광복절에는 단순히 쉬는 날로 보내지 말고, 나와 가족, 

그리고 이웃이 함께 나라의 소중함을 배우는 하루로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요?

 

▼광복절 20초 역사보기▼

https://youtube.com/shorts/mUhTqe0FtJ8?feature=share

 

반응형